CMM(Capability Maturity Model) 개념과 단계별 이해하기

CMM(Capability Maturity Model),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CMM은 1980년대 후반 미국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버전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CMM 단계

CMM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다섯 단계의 성숙도로 분류합니다. 각 단계는 조직의 프로세스가 얼마나 체계적이고 반복 가능한지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단계는 조직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CMM을 통해 조직은 프로세스의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여 더 나은 소프트웨어 품질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초기 단계

CMM의 첫 번째 단계는 ‘초기(Initial)’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가 비공식적이며, 체계적인 절차나 규칙 없이 진행됩니다. 대부분의 작업이 긴급한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며, 성공은 주로 개인의 능력에 의존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예측 가능성과 일관성이 부족하여 프로젝트 관리가 어렵습니다.

문제점 보완하기

초기 단계의 문제점은 체계적인 프로세스 부재로 인한 혼란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프로세스 문서화와 절차 정립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점진적으로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반복 단계

두 번째 단계는 ‘반복(Repeatable)’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성공한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반복합니다.

경험적 관리

반복 단계에서는 경험을 통한 관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정의 단계

세 번째 단계는 ‘정의(Defined)’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조직의 모든 프로젝트가 표준화된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됩니다. 프로세스는 조직 내에서 문서화되고, 모든 팀이 이를 따릅니다. 조직은 프로세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며, 이를 통해 품질 향상을 도모합니다.

정성적 관리

정의 단계에서는 경험의 공유 및 공식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관리 측정 단계

네 번째 단계는 ‘관리 측정(Quantitatively Managed)’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세스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합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지며, 프로세스의 변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관리

관리 측정 단계에서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조직이 더 나은 품질과 성과를 달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최적화 단계

다섯 번째 단계는 ‘최적화(Optimizing)’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개선과 혁신을 추구합니다. 조직은 새로운 기술과 방법론을 도입하여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혁신의 중요성

최적화 단계에서는 혁신을 통해 프로세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조직의 장기적인 성공에 기여합니다.

결론

CMM은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이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개선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단계는 조직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며, 이를 통해 조직은 더 나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 CMM의 개념과 단계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중요성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COCOMO(Constructive COst MOdel) 모델

CMM(Capability Maturity Model) 설명 글 마치겠습니다.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guest
1 Comment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trackback

[…] CMM(Capability Maturity Model) 개념과 단계별 이해하기 […]